알바 주휴수당/야간수당 조건 및 계산법(Feat. 계산기)

아르바이트를 할 때 주휴수당과 야간수당을 제대로 알고 있으면 더욱 공정한 임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기준과 계산법을 잘 몰라 제대로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.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과 야간수당의 조건과 계산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[바로가기] 주휴수당 계산기

이미지

1. 주휴수당이란? 지급 조건은?

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정해진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.

이미지

✅ 주휴수당 지급 조건

  1. 일주일 동안 15시간 이상 근무
  2. 정해진 근로일을 개근(빠짐없이 출근)할 것
  3. 주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가질 것

즉,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무단결근 없이 개근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2. 주휴수당 계산법 (계산기 사용 가능!)

주휴수당은 1일 평균 근로시간 × 최저시급으로 계산됩니다.

✅ 계산 공식

scss복사편집(일주일 총 근로시간 ÷ 근무일수) × 시급

예제) 최저시급 9,860원, 하루 6시간, 주 5일 근무

복사편집(6시간 × 5일) ÷ 5일 × 9,860원 = 59,160원

➡️ 주휴수당 계산기 사용하기: 주휴수당 계산기


3. 야간수당이란? 지급 조건은?

야간수당이란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까지 근무할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.

✅ 야간수당 지급 조건

  1. 밤 10시 이후 근무한 시간만 적용
  2. 기본 시급의 1.5배 지급

즉, 야간시간대(22:00~06:00)에 일하면 추가로 50%의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4. 야간수당 계산법 (계산기 활용 가능!)

야간수당은 기본 시급 × 1.5배로 계산됩니다.

✅ 계산 공식

scss복사편집(야간 근무 시간 × 시급 × 1.5)

예제) 최저시급 9,860원, 야간 4시간 근무

복사편집4시간 × 9,860원 × 1.5 = 59,160원

➡️ 야간수당 계산기 사용하기: 야간수당 계산기


5. 주휴수당 & 야간수당 함께 받을 수 있을까?

네, 가능합니다!
주 15시간 이상 근무하여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다면,
야간(22:00~06:00)에도 근무했다면 야간수당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
💡 예제) 주 5일, 하루 6시간(야간 2시간 포함) 근무 시

  • 주휴수당: 6시간 × 최저시급 = 59,160원
  • 야간수당: 2시간 × 최저시급 × 1.5 = 29,580원
    ➡️ 총 추가 수당: 88,740원 지급 가능!

📌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주휴수당을 받지 못했어요.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주휴수당은 법적으로 보장된 수당이므로, 사업주가 지급하지 않으면 고용노동부(국번 없이 1350)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Q2. 계약서에 주휴수당과 야간수당 지급이 없다고 되어 있으면 안 줘도 되나요?

아니요! 근로계약서와 상관없이 근로기준법에 따라 지급해야 합니다. 사업주가 이를 어길 경우 신고가 가능합니다.

[유튜브] 주휴수당 계산법

▶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◀

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였나요?

평점을 매겨 주세요!

평균 평점 5 / 5. 평가 수 15

첫 번째 평가자 입니다! 게시물을 평가 해주세요.

Leave a Comment

error: 콘텐츠 보호 중